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허구추리(애니메이션 1기)

덤프버전 : (♥ 0)

파일:허구추리 공식 로고.png
[[허구추리/등장인물|등장인물]]
[[허구추리#발매 현황|발매 현황]]
[[허구추리#코믹스|코믹스]]
[[허구추리/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TVA 1기 TVA 2기


허구추리 (2020)
虚構推理
In/Spectre
파일:허구추리애니.jpg
작품 정보 ▼

장르추리, 미스터리, 판타지
원작시로다이라 쿄
만화카타세 챠시바(片瀬茶柴)
감독고토 케이지
시리즈 구성타카기 노보루(高木 登)
캐릭터 디자인혼다 타카토시(本多孝敏)
총작화 감독
디자인 웍스카지노 야스히로(梶野靖弘)
미술 감독모로쿠마 미치코(諸熊倫子)
미술 설정후지세 토모야스(藤瀬智康)
색채 설계오오츠카 나츠코(大塚奈津子)
촬영 감독오다 요리노부(織田頼信)
3D CG
2D 웍스토쿠마루 히토시(徳丸仁志)
특수 효과
편집이케다 야스타카(池田康隆)
음향 감독야마다 하루(山田 陽)
음악마나베 아키히로(眞鍋昭大)
음악 제작킹 레코드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아소 카즈히로(麻生一宏)
후루카와 마코토(古川 慎)
프로듀서이시구로 타츠야(石黒達也)
쿠로스 노부히코(黒須信彦)
스즈키 란타(鈴木廉太)
히다카 이사오(日高 功)
우츠미 사츠키(内海五月)
야마오카 유키(山岡勇輝)
아이지마 고타(相島豪太)
타구치 유카코(田口由香子)
오자와 후미히로(小澤文啓)
애니메이션 프로듀서타카다 신지(高田伸治)
오자와 쥬코우(小沢十光)
애니메이션 제작브레인즈 베이스
제작허구추리 제작위원회
방영 기간2020. 01. 12. ~ 2020. 03. 29.
방송국파일:일본 국기.svg 테레비 아사히 / (일) 01:3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애니맥스 코리아 / (수) 01:00
스트리밍
Laftel


Wavve


네이버 시리즈온

편당 러닝타임24분
화수12화
시청 등급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주제, 폭력성, 언어)
관련 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
2. 공개 정보
2.1. PV
2.2. 키 비주얼
3.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4. 주제가
4.1. OP
4.2. ED
5. 회차 목록
6. 평가
7. 기타



1. 개요[편집]


시로다이라 쿄허구추리 소설과 카타세 챠시바의 코믹스판을 원작으로 하는 애니메이션 시리즈 중 제1기. 감독은 고토 케이지, 제작사는 브레인즈 베이스가 맡았으며, 방영 시기는 2020년 1월이다.


2. 공개 정보[편집]


2019년 1월 15일, TV 애니메이션화가 발표되었다. # 전체적인 스토리는 소설 단권 강철인간 나나세 편까지만 진행했다.

북미에서는 미국 원작 제목인 In/Spectre라는 이름으로, 크런치롤에서 자국어 더빙 방영했다.# 미국과 일본이 자국 언어로 방영했다면 디른 지역 및 국가에서는 자막 방영을 택했다. 예컨대 한국에서는 애니맥스 코리아에서 동시방영만 했다. 또한 동남아에서도 애니맥스를 통해 동시방영만 했다.


2.1. PV[편집]


PV 제1탄PV 제2탄PV 제3탄
CM 제1탄CM 제2탄


2.2. 키 비주얼[편집]


파일:허구추리_애니키비주얼2.jpg
키 비주얼 2탄


3.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허구추리/등장인물#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주제가[편집]



4.1. OP[편집]


OP
モノノケ・イン・ザ・フィクション
모노노케 인 더 픽션
TV ver.
MV ver.
노래거짓말과 카멜레온(嘘とカメレオン)
작사참(チャム)
작곡와타나베 소스케(渡辺壮亮)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고토 케이지
연출
작화감독혼다 타카토시(本多孝敏)



4.2. ED[편집]


ED
LAST DANCE
TV ver.
Full ver.
노래미야노 마모루
작사유시오(由潮)
작곡Jin Nakamura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고토 케이지
연출
작화감독혼다 타카토시(本多孝敏)



5. 회차 목록[편집]


  • 전화 총 작화감독: 혼다 타카토시(本多孝敏)
회차제목[1]각본콘티연출작화 감독방영일
#1一眼一足
일안일족
타카기 노보루
(高木 登)
고토 케이지혼다 타카토시
(本多孝敏)
日: 2020.01.12.
韓: 2020.01.15.
하이라이트
#2ヌシの大蛇は聞いていた
이무기 신령은 듣고 있었다
요시나가 아야
(吉永亜矢)
야마카와 타쿠미
(山川拓己)
혼다 타카토시
日: 2020.01.19.
韓: 2020.01.22.
하이라이트
#3鋼人の噂
강철 인간의 소문
요시나가 아야
타카기 노보루
모리시타 슈세이[2]
(森下柊聖)
스가하라 시즈타카
(菅原静貴)
마츠모토 켄타로
(松本健太郎)
혼다 타카토시
日: 2020.01.26.
韓: 2020.01.29.
하이라이트
#4アイドルは鉄骨に死す
아이돌은 철골에 죽음을 맞이한다
타카기 노보루고토 케이지야마우치 토미오
(山内東生雄)
야마카와 타쿠미日: 2020.02.02.
韓: 2020.02.05.
하이라이트
#5想像力の怪物
상상력의 괴물
요시나가 아야오가와 하루토
(小川治人)
요시다 리사코마츠모토 켄타로
와카츠키 아이코
(若月愛子)
日: 2020.02.09.
韓: 2020.02.12.
하이라이트
#6合理的な虚構
합리적인 허구
야나이 사치오
(柳井祥緒)
스가하라 시즈타카야마카와 타쿠미日: 2020.02.16.
韓: 2020.02.19.
하이라이트
#7鋼人攻略戦準備
강철인간 공략전 준비
타카기 노보루고토 케이지야마우치 토미오마츠모토 켄타로
와카츠키 아이코
日: 2020.02.23.
韓: 2020.02.26.
하이라이트
#8虚構を紡ぐ者
허구를 자아내는 자
요시나가 아야모리시타 슈세이스가하라 시즈타카아이사카 나오키
(相坂ナオキ)
스즈키 신이치
(鈴木信一)
日: 2020.03.01.
韓: 2020.03.04.
하이라이트
#9鋼人七瀬攻略議会
강철인간 나나세 공략 의회
야나이 사치오칸바라 하루카
(蒲原 遥)
야마우치 토미오야마카와 타쿠미
와카츠키 아이코
사이토 미오
(齊藤美旺)
日: 2020.03.08.
韓: 2020.03.11.
하이라이트
#10虚構争奪
허구 쟁탈
타카기 노보루오가와 하루토스가하라 시즈타카마츠모토 켄타로
아이사카 나오키
스즈키 신이치
日: 2020.03.15.
韓: 2020.03.18.
하이라이트
#11最後の虚構
최후의 허구
고토 케이지오가와 하루토시부야 카즈히코
(渋谷一彦)
야마카와 타쿠미
사이토 미오
日: 2020.03.22.
韓: 2020.03.25.
하이라이트
#12秩序を守る者
질서를 지키는 자
고토 케이지마츠모토 켄타로
야마카와 타쿠미
시부야 카즈히코
사이토 미오
와카츠키 아이코
혼다 타카토시
日: 2020.03.29.
韓: 2020.04.01.
하이라이트


6. 평가[편집]


영상적인 퀄리티 면에서는 호평이 많다. 작화가 매우 깔끔하고 안정적이며, 코믹스판에서 등장한 각 캐릭터들의 특징과 매력을 잘 살리고 있다. 또, 연출은 오버하지 않고 담백하게 표현하면서도 원작 소설과 코믹스판의 독특한 매력을 잘 살리고 있다는 반응이 많다.

다만 스토리 전개 면에서는 속도감이 떨어진다는 비판을 받았다. 작품의 전체적인 주제와 주요 인물들의 특징을 개요하는 프롤로그 부분인 1화부터 3화 중반에서 단순히 작품의 제목 '허구추리'의 의미 전달과 이와나가 코토코의 특징 시사에 불과한 서사적인 장치인 이무기 늪 시체 유기 사건 경위를 추리하는 이야기가 무려 한 화하고 절반 분량을 차지했고, 3화의 나머지 중반부터 8화까지는 메인 스토리인 강철인간 나나세 사건과 관련되어서 제대로 된 두뇌싸움을 하는 장면이 전혀 등장하지 않기 때문. 이와나가 코토코와 사쿠라가와 릿카의 대립 구도는 9화부터 본격적으로 구체화되는데, 그 전까지는 인물에 대한 설명과 정보 수집 과정 등을 점진적으로 표현하였기 때문에 서사의 진행이 느리고 지루하게 느껴질 수 있다. 다만 9화부터 이야기가 본 궤도로 자리잡음으로써 적절한 속도감으로 위기감이 조성되어 평가가 다시 호평 쪽으로 반전되었다.

이러한 구성은 단권 완결인 원작의 내용만을 애니메이션 12화 분량으로 담으려고 했기에 생기는 문제점이다. 차라리 강철인간 나나세 사건의 전조에 해당하는 소규모 사건들을 넣어 긴장감을 유지하거나 코토코와 쿠로 간의 관계에 전환점이 되는 극적인 일화를 넣어 스토리 전개의 완급 조절을 하는 방향으로 나갔으면 나았을 것이라는 반응이 있었다.

한편 속도감 있는 전개로 중심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을 유야무야 생략하는 것보단 애니메이션처럼 하나하나씩 사소한 과정까지 짚어가며 사건을 해결하는 느리고 점진적인 전개 방식이 오히려 참신하고 나았다는 평도 있었다.


7. 기타[편집]


  • TV 아사히의 실질적인 심야 애니메이션 정규편성 부활작이다. 이는 RED GARDEN, 창천의 권, 스모모모모모모 ~지상 최강의 신부~를 마지막으로 심야 애니메이션의 정규편성을 폐지한 2007년 2분기 이후로 무려 12년 9개월 만의 일이다.[3] 다만 특이하게도 간사이 지방에서는 MBS를 통해 방영되며, BS 방송도 BS 닛테레를 통해 이루어지는 등 UHF 애니메이션이 아님에도 각기 다른 계열에서 방영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 한편으로 TV 아사히는 이 작품 후속으로 방영된 예스터데이를 노래하며를 기점으로 해당 시간대를 NUMAnimation이라는 이름으로 브랜드화하고, 동년 4분기 체조 사무라이부터는 아예 자사 계열 전국 라인 네트워크 체제로 전환하게 된다.

[1]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맥스 코리아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2] 본작의 감독 고토 케이지의 필명.[3] 이후로는 2007년 3분기 좀비론, 2008년 3분기 마법사에게 소중한 것: 여름의 하늘, 2009년 1분기 흑신 The Animation, 2012년 4분기 신세계에서, 2016년 4분기 유리!!! on ICE타이거 마스크 W 등 매우 띄엄띄엄 방영했다. 그나마 흑신까지는 간간히 신작이 나오는 정도였지만, 이후로는 신작이 몇 년에 한두 편 나올까 말까한 수준으로 심야 애니메이션 시장으로부터 멀어져 있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05:25:45에 나무위키 허구추리(애니메이션 1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